지난 2월 새로 컴퓨터를 맞춰야 할 필요성을 느껴서 데스크탑을 맞추기로 계획을 하고 계획 실현에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한창 지금 코인 채굴장에서 처분중인 중고 그래픽카드가 많아서, 저렴한 가격에 가성비로 구입해서 쓸만도 하지만, 안정적인 사용과 AS기간 등을 생각해서 신품으로 구매를 했습니다. 다만 패키지 제품이 아니라 벌크 제품인 게 조금 아쉽지만, 패키징 박스만 없을 뿐 모자란 것은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요즘 중고 그래픽카드 매물들을 보고 글카 기변을 꿈꾸시는 분들이 많으시리라 생각되는데,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사용하실 목적이라면 괜찮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제가 사용하려고 구입한 제품은 HIS 사의 라데온 RX570 IceQ X2 Turbo D5 8GB 입니다.
RX570, 580 시리즈에 이어서 RX 580 그래픽카드가 최근에 출시되었는데 그보다는 성능이 좀 못미치지만, 나름 사용하는데는 충분한 성능을 보여줄 거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선택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플루이드 모션' 이라는 기능 때문이었습니다. 자동으로 동영상의 프레임레이트를 높여줘서 영상을 좀 더 부드럽게 만들어주어 시청할 때 신기한 즐거움을 느끼게 할 것 같은 기대감이 들었습니다.
다만 아쉽게도 이 모델은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백플레이트는 없는 모델입니다. 백플레이트가 있었다면 좀 더 좋았겠지만, 없어서 아쉬울 뿐입니다. 그리고 옆에 워런티 스티커를 보면 채굴로 사용 시 워런티가 단축된다는 경고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요 제품에 들어가는 보조전원은 8핀 전원(6+2핀) 1개가 들어가고, 사이드에 HIS 로고가 새겨져있습니다. 처음에 받았을 땐 저 로고 부분에 빛이라도 들어올 까 기대했지만, 감성은 기대해 볼 수 없었습니다.
그래픽카드 후면 포트부분을 보면 DVI 단자 1개와 HDMI 단자 1개, 그리고 DP 소켓 3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HDMI 소켓이 좀 더 많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또한 요즘에 없어지고 있는 추세인 DVI 소켓도 하나 있는 게 무난하게 보이며, 단자를 의외로 많이 넣어줘서 여러개 모니터를 구성할 수 있는 점도 하나의 장점이 될 것 같습니다.
같이 구성품으로 딸려온 것은 드라이버 CD와 파워서플라이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변환 케이블이 포함되었습니다. 이제 이 즈음에서 그래픽카드 사양을 올려드리고, 성능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HIS 라데온 RX570 IceQ X2 Turbo D5 8GB 사양
코어클럭 부스트 1264MHZ
스트림 프로세서 2048개
메모리클럭 7000MHZ
메모리 DDR5 8GB
메모리버스 256bit
최대 모니터 5개 구성
정격 500W 이상 파워 권장
HDR 지원
전원부 5페이즈
2팬 // 가로길이 230mm
테스트는 몇달 전에 시도한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현재도 동일한 사양으로 계속 사용중인데, 3D MARK를 돌린 결과 Time Spy 벤치마크에서는 그래픽 점수 3824점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Fire Strike 벤치마크에서는 그래픽스코어 13,323점이 찍혔습니다. 이 정도면 충분히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그래픽 성능을 보여주고 게이밍으로 사용할 때도 무난하게 커버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자료로 나마 그래픽카드를 고민하시고, 정보를 구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가습기 종류 추천] 초음파식 가열식 기화식 가습기의 차이는 무엇일까?
[M.2 SSD 추천] WD BLACK NVME SSD 500GB 벤치마크 사용기
[JOBY] 조비 고릴라포드 3K KIT 개봉기, 스마트폰 카메라 관절 삼각대 추천
"오테로의 오픈로그" 를 검색하세요!
'제품 리뷰 > 컴퓨터 n 주변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자가조립] 인텔 커피레이크 i5-8400, 지스킬 튜닝램 16G, RX570, GT404 컴퓨터 조립기 (0) | 2019.06.23 |
---|---|
[인텔] 인텔 CPU를 고집하는 이유, 9400F가 아닌 i5-8400 헥사코어 CPU 개봉기 (0) | 2019.06.08 |
[M.2 SSD 추천] WD BLACK NVME SSD 500GB 벤치마크 사용기 (0) | 2019.01.01 |
[오픈리뷰] NAS 하드 추천, WD RED 4TB 하드디스크 개봉기 (0) | 2018.06.28 |